차례
Debian was begun in August 1993 by Ian Murdock, then an undergraduate at Purdue University. Debian was sponsored by the GNU Project of The Free Software Foundation, the organization started by Richard Stallman and associated with the General Public License (GPL), for one year -- from November 1994 to November 1995.
데비안 0.01부터 0.90까지는 1993년 8월과 12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이안 머독 쓰기를:
"데비안 0.91은 1994년 1월에 나왔다. 사용자가 패키지를 다룰 수 있는 아주 원시적인 패키지 시스템이었지만 거의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의존성이나 그밖의 것은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이 때 데비안을 개발하는 사람은 불과 몇 십 명이었고 이 릴리스 또한 내 자신이 직접 했다. 0.91은 이런 형태의 마지막 배포판이었다.
1994년은 데비안 프로젝트를 정비하여 다른 사람이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하고 이안 잭슨이 관리하는 dpkg가 제대로 동작하기 시작했다. 1994년에는 공식적인 릴리스는 내 기억에는 없고 단지 몇번의 프로젝트 과정을 제대로 나가는지 확인하는 겸 내부적인 릴리스는 있었다.
데비안 0.93 릴리스 5는 1995년 3월에 처음 나왔고 처음으로 "현대적인" 데비안의 릴리스라고 할 수 있다: 정확한 숫자는 모르지만 더욱더 많은 개발자가 자신의 패키지를 갖고 있었고 dpkg를 이용해서 기본 시스템이 설치된 후 모든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었다.
Debian 0.93 Release 6 happened in November 1995 and was the last a.out release. There were about sixty developers maintaining packages in 0.93R6. If I remember correctly, dselect first appeared in 0.93R6."
이안 머독은 데비안 0.93R6를 "... 내가 가장 좋아하는 데비안 릴리스였다"라고 했는데 이 부분에서 데비안 1.0를 준비할 때인 1996년 3월에 프로젝트에서 그만두는 상황이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약간 그 자신의 편견을 보였다고 인정했다. 결국 이 릴리스는 데비안 1.0으로 이름을 붙인 릴리스 되지 않은 버전으로 CD-ROM 제작자가 그렇게 해버린 후에 혼동을 피하려고 데비안 1.1로 릴리스되었다. 이 사건은 결국 "공식적인" CD-ROM 이미지의 개념을 만들어 냈고 이 결과 CD-ROM 판매자가 이러한 종류의 실수를 저지르지 않게 만들었다.
1995년 8월 동안(데비안 0.93 릴리스 5와 데비안 0.93 릴리스 6 사이)에 하르트무트 코테인은 데비안의 모토롤라 m68k 패밀리 포팅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는 "수많은 패키지이 386계열에 너무 집중되어(리틀 엔디안, -m486, -O6와 libc4를 위한 모든 것) 있어서 본인의 머신인 Atari Medusa 68040, 32 MHz에 기본적인 시스템을 만든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석달후인 1995년 11월에 250개의 가용한 패키지중에서 200개의 패키지를 libc5용으로 업로드했다!" 이후로 데비안 프로젝트는 다른 포트로의 의식을 하는데 GNU 허드 마이크로커널로의 포팅도 한다.
Since this time, the Debian Project has grown to include several ports to other architectures, a port to a new (non-Linux) kernel, the GNU Hurd microkernel, and at least one flavor of BSD kernel.
프로젝트의 초기 멤버인 빌 미첼은 리눅스 커널을 기억하기를
"...시작했을 때 0.99r8에서 0.99r15 사이였다. 오랫동안 나는 20 MHz 386 기반 머신에서 30분 이내에 커널을 만들 수 있었고, 10Mb 이하의 디스크 공간에서 같은 시간 안에 데비안을 설치할 수 있었다.
" ... 이안 머독, 본인, 이안 잭슨과 다른 이안(성은 기억 안 남), 댄 퀸란(Dan Quinlan)과 다른 몇몇 이름이 기억 안 나는 사람이 초기 구성원이었다. 매트 웰시(Matt Welsh)는 초기 멤버 중 한 명이거나 그 이전의 멤버였다. 누군가 메일링 리스트를 만들었고 우리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본인이 기억하기로는 계획을 가지고 시작하지 않았고 아주 조직화 되는 형태로 프로젝트를 시작하지는 않았다. 시작할 당시에는 매우 무작위적으로 소스를 모아서 패키징을 하는 식이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목록을 모으고 이 부분을 모아서 배포판의 핵심으로 묶었다: 커널, 쉘, update, getty와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그리고 시스템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필수 유틸리티."
프로젝트의 초기에는 개발자가 오직 소스 패키지만 제공하는 것을 생각했다. 각 패키지는 상위 소스 코드와 데비안화된 패치파일로 구성되었고 사용자는 소스의 압축을 풀고 패치를 적용한 후에 컴파일 하여 바이너리를 얻었다. 하지만 개발자은 곧 바이너리 형태의 배포도 필요하다고 느꼈고 이안 머독이 만든 dpkg로 데비안 특정 바이너리 형태의 패키지를 만들고 나중에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파일을 풀고 패키지 파일을 설치한다.
이안 잭슨은 곧 패키징 도구의 개발을 넘겨 받아서 이름을 dpkg-deb로 명명하고 dpkg를 써서 dpkg-deb를 사용하고 현재 데비안 시스템의 의존성(Dependencies)과 충돌(Conflicts)을 제공했다. 이러한 도구를 써서 만든 패키지는 패키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도구 버전을 나열하는 헤더와 파일 내의 오프셋을 tar 생산 아카이브로 가지고 있었는데, 이 아카이브는 일부 제어 정보로 헤더와 분리했다.
이 시점에서 프로젝트의 구성원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났다 -- 몇몇은 dpkg-deb로 만들어진 데비안 전용 형식 ar 프로그램이 만들어내는 형식을 위하여 없어져야 한다고 느꼈다. 몇 번의 수정된 파일 형식과 이에 해당하는 패키징 도구가 나온 후에 ar 형식을 도입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데비안 패키지가 어떠한 유닉스 호환 시스템에서도 불신이 가는 실행파일을 실행하지 않고도 압축이 풀린다는 것이다. 달리 말해서, 표준도구인 'ar'과 'tar'와 같은 것이 현재의 모든 유닉스 시스템에서 데비안 바이너리 패키지를 풀고 내용을 확인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안 머독이 데비안을 떠나고 그는 브루스 페렌스를 다음의 대표자로 지목했다. 브루스는 처음에 "Linux for Hams"라는 아마추어 라디오 사용자를 위한 리눅스 소프트웨어를가 들어있는 리눅스 배포판 CD를 만들려고 하는 도중에 데비안에 처음을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데비안의 핵심 시스템이 그의 프로젝트를 지원하려고 많은 일이 필요하다고 알고서 브루스는 기초 시스템의 작업과 이와 관련된 설치 도구에 아주 많은 노력을 했고 그의 햄 라디오 배포를 미뤘다. 브루스가 설치도구모음에 한 작업은 현재의 Rescue 플로피 디자인의 기초가 되었다.
이안 머독 말하기를:
"브루스는 본인의 위치를 이어받을 자연스러운 기회를 가졌는데 이는 그가 거의 일 년 동안 기본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신경을 썼기 때문이고 본인이 데비안으로 가는 시간 동안 그는 슬랙을 선택했다."
그는 데비안 자유 소프트웨어 가이드라인과 우리의 약속을 작성하려는 노력을 조정하고 공개 하드웨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등 프로젝트의 몇 가지 중요한 측면을 시작했다. 그가 프로젝트 리더로 근무하면서 데비안은 기술적으로 유능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플랫폼으로 시장 점유율과 명성을 얻었다.
Bruce Perens also spearheaded the effort to create Software in the Public Interest, Inc.. Originally intended to provide the Debian Project with a legal entity capable of accepting donations, its aims quickly expanded to include supporting free software projects outside the Debian Project.
다음 데비안 버전은 이때 나왔다:
1.1 버즈는 1996년 6월에 나왔다.(474개의 패키지와 2.0 커널, 완전한 ELF, dpkg)
1.2 렉스는 1996년 12월에 나왔다(848 패키지, 120명 개발자)
1.3 보는 1997년 7월에 나왔다(974 패키지, 200명 개발자)
잠시 동안 1.3에 몇 "포인트" 릴리스가 있었으며 1.3.1R6까지 나왔다.
브루스 페렌스는 데비안 프로젝트 리더로 1998년 1월 초에 이안 잭슨으로 바뀌었다. 그 후 2.0 출시 준비를 위한 프로젝트를 상당 부분 맡았다.
이안 잭슨은 1998년 초에 데비안 프로젝트 리더가 되었고 Software Public Interest에 부리더가 된다. 재무국장인 팀 세일러와 리더인 브루스 페렌스, 사무국장인 이안 머독이 은퇴한 후에 그는 SPI 위원회의 리더가 되었고 새로운 임원 임원 3명이 선출되었다: 부리더 마틴 슐체(Martin Schulze), 사무국장 데일 쉐츠(Dale Scheetz), 재무국장 닐스 로너(Nils Lohner).
데비안 2.0(햄)이 인텔 i386계열과 모토롤라 68000 시리즈 아키텍처에 맞게 되어 나왔다. 이번 릴리스는 시스템의 새로운 C 라이브러리(glibc2에 기반한 lib6)로 되었고 1500개가 넘는 패키지와 400명이 넘는 개발자가 참여했다.
Wichert Akkerman succeeded Ian Jackson as Debian Project Leader in January of 1999. Debian 2.1 was released on 09 March, 1999, after being delayed by a week when a few last-minute issues arose.
Debian 2.1 (Slink) featured official support for two new architectures: Alpha and Sparc. The X-Windows packages included with Debian 2.1 were greatly reorganized from previous releases, and 2.1 included apt, the next-generation Debian package manager interface. Also, this release of Debian was the first to require 2 CD-ROMs for the "Official Debian CD set"; the distribution included about 2250 packages.
On 21 April 1999, Corel Corporation and the K Desktop Project effectively formed an alliance with Debian when Corel announced its intentions to release a Linux distribution based on Debian and the desktop environment produced by the KDE group. During the following spring and summer months, another Debian-based distribution, Storm Linux, appeared, and the Debian Project chose a new logo, featuring both an Official version for use on Debian-sanctioned materials such as CD-ROMs and official Project web sites, and an Unofficial logo for use on material mentioning or derived from Debian.
A new, unique, Debian port also began at this time, for the Hurd port. This is the first port to use a non-Linux kernel, instead using the GNU Hurd, a version of the GNU Mach microkernel.
Debian developers joined formally for the first time in an annual meeting called DebConf. The first meeting, called Debconf0, took place in Bordeaux, France from the 5th to the 9th of July 2000. The conference aim was to join developers and advanced users in a single place to talk about Debian and work together developing parts of the distribution.
데비안 2.2(포테이토)는 2000년 8월 15일에 릴리스 했고 인텔 i386과 모토롤라 68k 시리즈, 알파, 선 스팍, 파워피시와 암 아키텍처를 지원했다. 파워피시와 암에 대한 첫번째 지원이었고 릴리스 할 때, 3900이상의 바이너리와 2600이상의 소스 패키지를 450명 이상의 데비안 개발자가 관리했다.
An interesting fact about Debian 2.2 is that it showed how a free software effort could lead to a modern operating system despite all the issues around it. This was studied thoroughly by a group of interested people in an article called Counting potatoes: The size of Debian 2.2, by Jesús González Barahona, quoting from this article:
"[중략] 우리는 sloccount 시스템을 써서 데비안 2.2 포테이토 물리적 소스 코드 라인 수(source lines of code: SLOC)를 알아보았다. 데비안은 55,000,000 이상의 SLOC인데 이는 레드햇 7.1보다 무려 두 배 큰 셈이고 이는 데비안 개발 모델이 전세계에 퍼져있는 수많은 개발자가 모여 작업하는 모델을 보여준 셈이다. 이는 적어도 다른 개발 방법에 맞먹는 수준이다. 만일 데비안이 독점 개발 방식을 따랐다면 COCOMO 모델은 데비안 2.2를 개발하기에 19억 미국달러가 들 수 있다고 예측했다. 거기에 개발에 필요한 70% 차지하는 C와 10%의 C++, LISP와 쉘이 5% 그리고 나머지인데 이런 언어를 담고 있을 뿐 아니라 가장 커다란 패키지인 모질라와 리눅스 커널, PM3와 XFree86까지 들어있다."
Before woody could even begin to be prepared for release, a change to the archive system on ftp-master had to be made. Package pools, which enabled special purpose distributions, such as the new "Testing" distribution used for the first time to get woody ready for release, were activated on ftp-master in mid December 2000. A package pool is just a collection of different versions of a given package, from which multiple distributions (currently experimental, unstable, testing, and stable) can draw packages, which are then included in that distribution's Packages file.
동시에 새 배포판 testing을 도입했다. 주로, 불안정에 있던 패키지는 (몇 주 시간이 지나고 나서) 안정적이라면 testing으로 들어간다. 동결 시간을 줄이고 언제든지 새로운 릴리스를 준비하는데 도움을 주려고 이 프로젝트에 도입했다.
이 기간 동안 새로운 버전을 가지고 장사를 했던 회사가 문을 닫는다. 코렐은 리눅스 부분을 2001년 1사분기에 팔았고, 스토믹스는 2001년 1원 17일에 파산 선고를 하고, 프로지니는 2001년 10월 1일 배포판 개발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The freeze for the next release started on July 1st 2001. However, it took the project a little more than a year to get to the next release, due to problems in boot-floppies,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cryptographic software in the main archive and due to the changes in the underlying architecture (the incoming archive and the security architecture). In that time, however, the stable release (Debian 2.2) was revised up to seven times, and two Project Leaders were elected: Ben Collins (in 2001) and Bdale Garbee. Also, work in many areas of Debian besides packaging kept growing, including internationalization, Debian's web site (over a thousand web pages) was translated into over 20 different languages, and installation for the next release was ready in 23 languages. Two internal projects: Debian Junior (for children) and Debian Med (for medical practice and research) started during the woody release time frame providing the project with different focuses to make Debian suitable for those tasks.
The work around Debian didn't stop the developers from joining the annual DebConf meeting. The second meeting Debconf1 was held from the 2nd to the 5th of July together with the Libre Software Meeting (LSM) at Bordeaux (France) gathered around forty Debian developers. The third conference, Debconf2 took place in Toronto (Canada) July 5th 2002 with over eighty participants.
데비안 3.0(우디)은 인텔 i386, 모토롤라 68k, 알파, 선 스팍, 파워피시, 암, HP PA-RISC, IA-64, MIPS, MIPS(DEC)와 IBM s/390을 지원하면서 2002년 7월 19일에 나왔다. 이는 HP PA-RISC, IA-64, MIPS, MIPS(DEC)와 IBM s/390이 들어있는 첫번째 릴리스이다. 릴리스 당시, 900여 명의 데비안 개발자가 유지한 약 8500개의 바이너리 패키지가 있어 CD-ROM 뿐만 아니라 DVD 미디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릴리스가 되었다.
Before the next release the DebConf annual meeting continued with the fourth conference, DebConf3 taking place in Oslo from July 18th to July 20th 2003 with over one hundred and twenty participants, with a DebCamp preceding it, from July 12th to July 17th. The fifth conference, DebConf4, took place from May 26th to June 2nd 2004 in Porto Alegre, Brazil with over one hundred and sixty participants from twenty six different countries.
데비안 3.1(사지)은 2005년 6월 6일 우디와 똑같은 아키텍처로 나왔고 비공식 AMD64 포트가 같은 시간에 나왔지만 https://alioth.debian.org에서 가능했다. 약 15,000개 바이너리 패키지를 1,500명 넘는 개발자가 유지한다.
사지 릴리스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대부분 배포판을 동결하고 릴리스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었다. 이 릴리스는 이전 버전으로 제공된 소프트웨어의 73% 이상을 업데이트했을 뿐만 아니라 OpenOffice 제품군, Firefox 웹 브라우저 및 Thunderbird e- 메일 클라이언트가 들어있다.
이 릴리스는 2.4 및 2.6 리눅스 커널 시리즈, XFree86 4.3, GNOME 2.8 및 KDE 3.3과 함께 출시되었으며, 새로운 설치 프로그램과 함께 출시되었다. 이 새로운 설치프로그램은 오래된 부팅 플로피 설치기 하드웨어 탐지가 들어가고 고급 설치(RAID, XFS 및 LVM 지원 들어감)에 제공되는 모듈식 설계로 교체하고 모든 아키텍처의 초보 사용자를 위한 설치를 용이하게 했다. 또한 패키지 관리를 위해 선택된 도구로서 aptitude 로 전환했다. 그러나 설치 시스템은 소프트웨어가 거의 40개 언어로 번역됨에 따라 완전한 국제화 지원을 자랑하기도 했다. 지원 문서인 설치 매뉴얼과 릴리스 노트를 각각 10개 언어와 15개 언어로 제공했다.
이 릴리스는 Debian-Edu/Skolelinux, Debian-Med 및 Debian-Accessibility sub-projects 노력이 들어가며, 특히 장애인을 위해 설계된 패키지 뿐만 아니라 교육 패키지 및 의료 제휴를 가진 사람 수를 늘렸다.
The sixth DebConf, Debconf5 was held in Espoo, Finland, from July 10th to July 17th, 2005 with over three hundred participants. Videos from this conference are available online.
The seventh DebConf, Debconf6 was held in Oaxtepec, Mexico, from May 14th to May 22nd, 2006 with around two hundred participants. Videos and pictures from this conference are available online.
Debian 4.0 (etch) was released April 8th, 2007 for the same number of architectures as in sarge. This included the AMD64 port but dropped support for m68k. The m68k port was, however, still available in the unstable distribution. There were around 18,200 binary packages maintained by more than one thousand and thirty Debian developers.
Debian 5.0 (lenny) was released February 14th, 2009 for one more architecture than its predecessor, etch. This included the port for newer ARM processors. As with the previous release, support for the m68k architecture was still available in unstable. There were around 23,000 binary packages (built from over 12,000 source packages) maintained by more than one thousand and ten Debian developers.
데비안 레니가 나오면서 포인트 릴리스 명명방식을 바꾸었다. 포인트 릴리스는 진정한 마이크로 버전 번호를 사용할 것이므로, 데비안 레니의 첫 포인트 릴리스는 5.0.1이 될 것이다. 과거 포인트 릴리스는 r로 명명되었고, 주요 번호와 소수에 추가된 번호(예: 4.0r1)가 더해졌다.
The eighth DebConf, Debconf7, was held in Edinburgh, Scotland, from June 17th to 23th, 2007 with over four hundred participants. Videos and pictures from this conference are available online.
The ninth DebConf, Debconf8, was held in Mar de Plata, Argentina, from August 10th to 16th, 2008 with over two hundred participants. Videos and pictures from this conference are available online.
The tenth DebConf, Debconf9, was held in Cáceres, Spain, from July 23th to 30th, 2009 with over two hundred participants. Videos and pictures from this conference are available online.
The eleventh DebConf, Debconf10, was held in New York City,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August 1st to 7th, 2010 with DebCamp preceding it from July 25th to 31st. Over 200 people including Debian developers, maintainers, users gathered at the Columbia Campus to participate in the conference. Videos and pictures from this conference are available online.
데비안 6.0(스퀴즈)은 2011년 2월 6일 나왔다.
After the project decided, the 29th of July 2009, to adopt time-based freezes so that new releases would be published the first half of every even year. Squeeze was a one-time exception to the two-year policy in order to get into the new time schedule.
이 정책은 데비안 배포판 사용자에게 릴리스의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고 데비안 개발자가 더 나은 장기 계획을 할 수 있도록 채택되었다. 2년간의 릴리스 주기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여주면서 파괴적인 변화를 위한 더 많은 시간을 제공했다. 예측 가능한 동결 또한 전반적인 동결 시간을 줄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However, even though the freeze was expected in December 2009, the announcement that squeeze had frozen came in August 2010, coinciding with the celebration of the 10th annual DebConf meeting in New York.
새 기능:
리눅스 커널 2.6.32, 이제 완전히 자유이며 문제 있는 펌웨어 파일이 없다.
libc: eglibc 2.11
GNOME 2.30.0 with some pieces of 2.32
KDE 4.4.5
X.org 7.5
Xfce 4.6
OpenOffice.org 3.2.1
Apache 2.2.16
PHP 5.3.3
MySQL 5.1.49
PostgreSQL 8.4.6
Samba 3.5.6
GCC 4.4
Perl 5.10
Python 2.6 및 3.1
거의 15,000 개의 소스 패키지에서 만들어진 29,000 개 이상의 바이너리 패키지를 위한 10,000 개의 새로운 패키지.
DKMS. Linux 커널 소스 트리에 소스가 상주하지 않는 Linux 커널 모듈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병렬 실행을 통해 시스템 부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insserv를 사용한 초기화 스크립트의 종속성 기반 순서.
새 포트 둘, kfreebsd-i386 및 kfreebsd-amd64.
많은 패키지가 퀼트 기반의 새로운 소스 패키지 형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네이티브가 아닌 패키지에 대해 "3.0(퀼트)"라고 하는 이 새 형식은 데비안 패치를 분산 소스와 분리한다. 새로운 형식인 "3.0(네이티브)"도 네이티브 패키지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형식의 새로운 기능에는 여러 업스트림 타르볼 지원, bzip2 및 lzma 압축 타르볼 지원 및 바이너리 파일이 들어있다.
제12회 데브컨프 Debconf11가 2011년 7월 24일부터 30일까지 스르프스카 공화국 반자 루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열렸으며, 데브캠프가 17일부터 23일까지 이를 선행했다.
제13회 데브컨프 Debconf12가 2012년 7월 8일부터 14일까지 니카라과 마나과에서 열렸으며, 7월 1일부터 6일까지 데브캠프가, 7월 7일에는 데비안 데이가 있었다.
Debian 7.0 (wheezy) was released May 4th, 2013. This new version of Debian included various interesting features such as multiarch support, several specific tools to deploy private clouds, an improved installer, and a complete set of multimedia codecs and front-ends which removed the need for third-party repositories.
데비안 위지가 릴리스 된 후 포인트 릴리스의 이름 지정 체계는 다시 한 번 바뀜 : 포인트 릴리스는 부 버전 번호로 명명. 예 : 7.1. 과거 시점에서 릴리스는 메이저 번호와 마이너 번호에 추가 된 마이크로 번호(예 6.0.1)로 명명했다.
2011년 7월 데비안 콘퍼런스 데브컨프11 때, "multiarch support"가 도입되었다. 이 기능은 이번 릴리스의 출시 목표였다. Multiarch는 라이브러리와 헤더 경로에 관한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고하여, 동일한 시스템에 서로 다른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를 쉽게 병렬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일한 시스템에 여러 아키텍처의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용하지만, 가장 흔한 것은 64비트 소프트웨어와 32비트 소프트웨어를 같은 시스템에 설치하고 종속성을 자동으로 올바르게 해결하는 것이다. 이 기능은 Multiarch manual에 광범위하게 설명되어 있다.
설치 과정이 크게 개선되었다. 이 시스템은 무엇보다도 점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시각 장애인이 소프트웨어 스피치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수많은 번역가의 결합된 노력 덕분에 73개 언어로 설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었고, 그 중 십여 개 이상의 언어 합성도 가능했다. 게다가 처음으로 데비안은 Secure Boot은 아직 지원하지 않았지만, 64비트 PC의 UEFI를 써서 설치와 부팅을 지원했다.
다른 새 기능과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들어있다:
Linux Kernel 3.2
kFreeBSD kernel 8.3 및 9.0
libc: eglibc 2.13
데스크톱 환경 GNOME 3.4
KDE Plasma Workspaces 및 KDE 응용프로그램 4.8.4
xfce 4.8 데스크톱 환경
X.org 7.7
LibreOffice 3.5.4(OpenOffice를 대체)
Xen Hypervisor 4.1.4
Apache 2.2.22
Tomcat 6.0.35 및 7.0.28
PHP 5.4
MySQL 5.5.30
PostgreSQL 9.1
Samba 3.6.6
GCC 4.7 on PCs(4.6 다른 곳)
Perl 5.14
Python 2.7
거의 17,500개의 소스 패키지로 구축된 37,400개 이상의 바이너리 패키지를 위한 12,800개의 새로운 패키지.
For more information on the new features introduced in this release, see the What's new in Debian 7.0 chapter of Wheezy Release Notes.
제14회 데브컨프 Debconf13가 스위스 바우마르쿠스에서 2013년 8월 11일부터 18일까지 열렸으며, 8월 6일부터 10일까지는 데브캠프가, 8월 11일에는 데비안 날이 열렸다.
제15회 데브컨프 Debconf14는 미국 포틀랜드에서 2014년 8월 23일부터 31일까지 열렸다. 301명이 참석한 지금까지 서반구에서 가장 큰 데브컨프였다.
데비안 8.0(제시) 2015년 4월 25일 나왔다.
이 릴리스의 주요한 변화는 초기 시스템의 교체였다: systemd가 sysvinit를 바꾸기했다. 이 새로운 초기 시스템은 많은 개선과 더 빠른 부팅 시간을 특징으로 했다. 그러나, 이것이 들어있는 다른 메일링 리스트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심지어 init system coupling이라는 제목의 일반 결의안까지 이끌어냈다. 개발자의 절반 가까이가 투표했다[2].
다른 새 기능과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들어있다:
Apache 2.4.10
Asterisk 11.13.1
GIMP 2.8.14
업데이트된 버전의 GNOME 데스크톱 환경 3.14
GNU Compiler Collection 4.9.2
Icedove 31.6.0(Mozilla Thunderbird 브랜드 없는 버전)
Iceweasel 31.6.0esr(Mozilla Firefox 브랜드 없는 버전)
KDE Plasma Workspaces 및 KDE 응용프로그램 4.11.13
LibreOffice 4.3.3
Linux 3.16.7-ctk9
MariaDB 10.0.16 및 MySQL 5.5.42
Nagios 3.5.1
OpenJDK 7u75
Perl 5.20.2
PHP 5.6.7
PostgreSQL 9.4.1
Python 2.7.9 및 3.4.2
Samba 4.1.17
Tomcat 7.0.56 및 8.0.14
Xen Hypervisor 4.4.1
xfce 4.10 데스크톱 환경
거의 20,100개의 소스 패키지로 구축된 43,000개 이상의 기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For more information on the new features introduced in this release, see the What's new in Debian 8.0 chapter of Jessie Release Notes.
제16회 데브컨프 Debconf15가 데브캠프 및 Open Weekend를 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2015년 8월 9일부터 22일까지 열렸다.
제17회 데브컨프 Debconf16가 남아프리카 케이프 타운에서 2016년 6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데브캠프 및 데비안데이 선행) 열렸다. 아프리카에서 첫 데브컨프였다.
데비안 9.0(스트레치)은 2017년 6월 17일에 나왔다.
새 기능 및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패키지:
Apache 2.4.23
Bind 9.10
Calligra 2.9
Emacs 25.1
Firefox 50.0
GNOME 데스크톱 환경 3.22
GNU Compiler Collection 6.3
GnuPG 2.1
KDE Plasma Workspaces 및 KDE 응용프로그램 5.8
LibreOffice 5.2.7
Linux 4.9
MariaDB 10.1
OpenJDK 8
OpenSSH 7.4p1
Perl 5.24
PHP 7.0
Postfix 3.1
PostgreSQL 9.6
Python 3.5
Samba 4.5.8
Xen Hypervisor 4.8.1
xfce 4.12 데스크톱 환경
거의 25,000개 소스 패키지로 구축된 51,000개 이상의 기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For more information on the new features introduced in this release, see the What's new in Debian 9.0 chapter of Stretch Release Notes.
제18회 데브컨프 Debconf17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2017년 7월 31일부터 8월 12일까지(데브캠프 및 데비안데이 선행) 열렸다.
제19회 데브컨프 Debconf18 -아시아 처음 데브컨프 - 대만 신주에서 2018년 7월 21일부터 8월 5일까지, 전통적으로 데브캠프 및 Open Day가 공개적으로 선행되고 열렸다.
데비안 10.0(버스터)은 2019년 7월 6일 나왔다.
새 기능 및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패키지:
Apache 2.4.38
Bind 9.11
Calligra 3.1
Emacs 26.1
Firefox 60.7
GNOME 데스크톱 3.30
GNU Compiler Collection 8.3
GnuPG 2.2
KDE Plasma Workspaces 및 KDE 응용프로그램 5.14
LibreOffice 6.1
Linux 4.19
MariaDB 10.3
OpenJDK 11
OpenSSH 7.9p1
Perl 5.28
PHP 7.3
Postfix 3.3.2
PostgreSQL 11
Python 3.7.3
Rustc 1.34
Samba 4.9
xfce 4.12 데스크톱 환경
거의 25,000개 소스 패키지로 구축된 57,700개 이상의 기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For more information on the new features introduced in this release, see the What's new in Debian 10.0 chapter of Buster Release Notes.
버스터 릴리스 직후, 제20회 데브컨프 Debconf19가 브라질 쿠리티바에서, 2019년 7월 14일부터 28일까지 데브캠프 및 오픈데이를 했다.
제21회 데브컨프 Debconf20가 온라인으로 - 코로나19 때문 - 2020년 8월 23일부터 29일까지 열렸다.
데비안 11.0(불스아이)가 2021년 8월 14일 나왔다.
새 기능 및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패키지:
Apache 2.4.48
Bind 9.16
Calligra 3.2
Emacs 27.1
Firefox 78
GNOME 데스크톱 3.38
GNU Compiler Collection 10.2
GnuPG 2.2.27
KDE Plasma Workspaces 및 KDE 응용프로그램 5.20
LibreOffice 7.0
Linux 5.10
MariaDB 10.5
OpenJDK 11
OpenSSH 8.4p1
Perl 5.32
PHP 7.4
Postfix 3.5
PostgreSQL 13
Python 3.9.1
Rustc 1.48
Samba 4.13
xfce 4.10 데스크톱 환6
25,000개 넘는 소스 패키지로 구축된 59,500개 이상의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For more information on the new features introduced in this release, see the What's new in Debian 11.0 chapter of Bullseye Release Notes.
불스아이 릴리스 직후, 제21회 데브컨프 Debconf21이 온라인으로 - 코로나19 때문 - 2021년 8월 24일 열렸다. (온라인) 데브캠프가 2021년 8월15일부터 23일까지 선행했다.
DebConf22, the 23rd annual Debian Conference, took place in Prizren, Kosovo from July 17th to 24th, 2022. We've hosted 260 attendees from 38 different countries participating in 91 event talks, discussion sessions, Birds of a Feather (BoF) gatherings, workshops, and other activities.
DebConf23, took place in Kochi, India from September 10th to 17th, 2023. Over 474 attendees representing 35 countries from around the world came together for a combined 89 events made up of Talks, Discussions, Birds of a Feather (BoF) gatherings, workshops, and other activities.